2016 연봉 실수령액 한눈에파악하기
2016 연봉 실수령액 한눈에파악하기
직장을 구하는 사회초년생분들이나 새롭게 이직을 하시는분들은 모두 연봉에대해서 관심을 가지실텐데요. 실제 우리가 아는 연봉은 실제 수령액과는 다른데, 각종세금들을 제하면 실제 연봉 실수령액이 나오게됩니다.
이러한 연봉 실수령액은 연봉에 따라 공제액차이가있는데요. 이럴때 필요한것이 바로 연봉 실수령액이겠죠. 표를 통해서 2016 연봉 실수령액을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6 연봉 실수령액
연봉 실수령액 표는 구인.구직 사이트인 사람인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미지를 가져왔는데요. 표를 살펴보시면 연봉에 12달을 나누면 월급여액이 나오고 월급여액에서 월공제액을 빼면 실제수령액이 나오게됩니다.
위의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연봉이 높을수록 원급여 대비 공제액 비율이 높아집니다. 표가 너무 잘나와있어서 보기가 굉장히 간편합니다.
연봉 3천만원대부터 6천만원대까지입니다. 연봉이 6천만원이되니 월급여대비 공제액 비율이 약15%까지 올라가게되네요. 실제 세후 연봉 실수령액은 5100만원정도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고소득 구간인 연봉 6천만원대부터 연봉 9천만원까지의 연봉 실수령액입니다. 연봉이 9천만원이되면 월급여대비 공제액 비율이 19%까지 올라가서 실제수령액은 약7200만원정도가 되는군요.
현재 사람인 사이트에서는 연봉 3억원까지 연봉 실수령액 표를 제공하고있어요. 중간은 건너뛰고 표를 가져왔는데요. 연봉이 3억원일때는 약 35%의 월급여대비 공제액비율이 적용되네요. 연봉은 3억원이지만 실제 연봉 실수령액은 약1억9300만원입니다. 생각보다 세금이 많이 나가는군요. 그래도 이렇게 고소득자가 된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겠습니다. ㅎ
이상 2016 연봉 실수령액을 살펴보았습니다. 실제 연봉 실수령액 계산에서 공재액은 4대보험과 소득세, 주민세를 합한것을 계산하게되는데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세액표가 변경되면 실수령액도 달라질수있습니다. 실제지급조건, 과거소득, 비과세액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있으니 참조하시길 바랄게요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한눈에보기 (0) | 2016.09.21 |
---|---|
종합부동산세 대상, 과세 대상유형 정리 (0) | 2016.09.21 |
공무원 연금 수령액 계산하는법 (0) | 2016.09.21 |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는법 (0) | 2016.09.20 |
우리은행 신용카드 추천 TOP3 (0) | 2016.09.20 |